[칼럼] 선 넘는 중국시장의 규제
최초로 작년 말부터 이어진 중국 정부의 민간기업 규제가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것이다.
작년 11월 뉴욕증시 상장을 며칠 앞두고 금융 리스크 관리를 이유로 갑작스레 중국 최대 핀테크 기업 엔트파이낸셜의 상장을 중지시켰으며,
또한 중국 최대 차량공유 업체인 디디추싱은 6월 말 미국 증시 상장 직후 데이터 안보 등을 이유로 중국 내에서 신규고객 모집을 사실상 금지당하는 처벌을 받고 있다.
이와 비슷하게 배달업체인 메이퇀은 반독점법 위반에 이어 배달원에 대한 열악한 처우 문제등으로 중국 당국의 규제를 받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국 정부의 규제조치가 거침없이 쏟아지면서 시장에 충격을 안기고 있고,
한 예로 중국 최대 온라인 사교육 업체인 신둥팡은 고점 대비 90% 가까이 폭락했다.
여기서 이러한 규제를 하는 이유를 살펴볼 이유가 있다.
먼저, 그 이유중 하나로 정치적 배경을 생각해야 한다. 내년 10월 중구 공산당 제 20대 전국대회가 열리는데, 여기서 시진핑 국가 주석의 3기 연임 여부가 결정된다.
그 전에 시주석은 미/중 간의 무역전쟁, 기술전쟁에서 성과를 내야하고, 사회적 안정을 통한 지지기반 확대에 신경을 쓰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한 예로, 소득 불평등이 교육 불평등으로 이어진다는 해석으로 사교육 규제를 실시했다.
여기에 필자의 주관적 관점을 덧붙이자면 중국 규제 강화는 우리나라 증시 및 기업에는 양날의 검으로 생각해야 한다.
<글/도움 : F&S투자그룹 이승복 애널리스트>
출처 : http://www.job-post.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424